슬기로운 경제 활동/돈 되는 정보 핵심 포인트

알아두면 돈 버는 금융 지식_액플레이션, 트라이슈머, 로보어드바이저, 리퀴드 소비, 슈링코노믹스

써니(sunny)한 아재 2024. 1. 30. 01:49
반응형

 

 

알아두면 돈을 버는데 도움이 되는 금융 지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지식을 활용하여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융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에 금융 지식 및 용어를 통해 금융 문맹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조금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목차>
  1. 액플레이션(whakflation)
  2. 트라이슈머(trysumer)
  3.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4. 리퀴드 소비(Liquid consumption)
  5. 슈링코노믹스(shrinkonomics)

 

 

알아두면 돈 버는 금융 지식_액플레이션&#44; 트라이슈머&#44; 로보어드바이저&#44; 리퀴드 소비&#44; 슈링코노믹스

 

1. 액플레이션(whakflation)

미국 경제 매체인 블룸버그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인 '액플레이션'은 'whack(세게 치다, 후려치다)'과 'inflation(인플레이션,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경제 현상)'을 결합한 것입니다. 블룸버그는 기존의 경제 현상으로는 정확히 설명할 수 없는 이 인플레이션 현상을 초인플레이션(통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극심한 인플레이션 현상)이나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오히려 오르는 현상)과 같은 용어로 규정합니다. 액플레이션은 호황과 불황 사이에서 벌어지는 물가파동과 물가 상승을 의미하며, 이는 '제대로 안 돌아가는(out of whack)'이나 '두더지 잡기(Whack-a-mole)'와 같이 하나의 공급 부족 사태가 꼬리를 물어 또 다른 공급 부족을 야기한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또한, 액플레이션은 '채찍 효과(bullwhip effect)'에 따른 결과라고도 말할 수 있는데, '채찍 효과'는 소를 몰 때 쓰는 채찍의 손잡이 부분에 작은 힘만 가해도 끝 부분에는 큰 파동이 생기는 현상을 비유한 용어입니다. 이처럼 플레이션은 예측하기 어렵고 불안정한 경제 상황을 의미합니다.

 

2. 트라이슈머(trysumer)

시도하다는 뜻의 'try'와 소비자라는 뜻의 'consumer'를 합친 말로, 체험을 중시하는 소비자를 가리킵니다. 트라이슈머는 신제품이나 서비스가 출시됐을 때 광고나 상품 정보와 같은 간접 정보에 의존하기보다는 자신이 이를 직접 경험한 뒤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제품 구매 시 광고나 브랜드의 유명세가 아닌 다른 소비자들의 리뷰나 자신만의 경험을 더욱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난 데 따른 것입니다. 이에 기업들은 트라이슈머를 겨냥한 팝업 스토어나 체험 부스 등 자사의 상품 및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활발히 마련하고 있습니다. '플래그십 스토어'는 트라이슈머가 새로운 소비세력으로 부상함에 따라 등장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들을 겨냥한 마케팅이 가장 활성화되고 있는 분야는 뷰티 업계로, 실제로 시중 뷰티 브랜드들은 트라이슈머 공략을 위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자사의 대표 제품을 경험할 수 있는 '트라이얼 키트'를 속속 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기술이 중시되는 1업계에서도 정식 론칭에 앞서 베타 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고 있습니다.

 

액플레이션(whakflation)&#44; 트라이슈머(trysumer)

 

3.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는 로봇(robot)과 자문가(advisor)의 합성어입니다. 이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투자자의 투자성향, 리스크 선호도, 목표 수익률 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투자자문, 자산운용 등 온라인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비용을 줄이므로, 일반 개인들도 더 쉽게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는 금융회사가 로보어드바이저의 자산배분 결과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자문(자문형)하거나 고객 자산을 직접 운용(일임형)하는 형태로 제공됩니다.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에서는 미국이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19개 금융기관이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4. 리퀴드 소비(Liquid consumption)

리퀴드 소비는 한 마디로 "유연한 소비"입니다. 과거와는 달리 물건을 자신의 것으로 소유해서 집착하지 않고, 한 가지 브랜드만 고집하지 않으며, 가벼운 소비 행태를 말합니다. 또한 대부분 온라인을 통해 구매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44; 리퀴드 소비(Liquid consumption)&#44; 슈링코노믹스(shrinkonomics)

 

 

5. 슈링코노믹스(shrinkonomics)

'슈링크(shrink)'라는 줄어든다는 뜻의 단어와 '이코노믹스(economics)'라는 경제를 의미하는 단어의 합성어로, '축소 경제' 또는 '수축 경제'를 의미합니다. 인구 감소로 인해 경제를 지탱하는 생산 가능 인구(15~64세)가 줄어들어 생산, 소비, 투자, 고용 등 경제 전반적으로 축소되고 활력을 잃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이 용어는 국제통화기금(IMF)이 2020년 3월에 발표한 '슈링코노믹스, 일본이 주는 교훈(Shrinkonomics, Lessons from Japan)' 보고서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IMF는 해당 보고서에서 슈링코노믹스의 주요 원인으로 저출산과 고령화를 지적했습니다.

 

 

돈이 되는 시간 관리! 계획적이고 효율적인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돈이 되는 시간 관리! 계획적이고 효율적인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시간은 금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돈을 버는 시간 관리를 계획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계획적으로 시간 활용 업무에서의 우선순위 확인

ajaeblo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