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력계통 2

신재생에너지 분산 전원의 계통 연계 시 기술적 고려 사항과 구조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미래에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 기술과 실용화의 요구로 인해, 에너지 사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기존의 전력 회사 송배전 계통에 다수의 분산된 신재생 에너지 전원이 연계 운전될 전망이 있습니다. 이에 계통 연계 시 고려해야 할 기술적 사항 및 특징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려 합니다. 1. 신재생에너지 분산 전원의 종류 및 연계계통의 형태 2. 신재생에너지 분산 전원의 계통 연계 시 기술적 고려 사항 3. 신재생에너지 분산 전원의 구조적인 특징 3.1 전기방식 3.2 역률 3.3 고조파 및 고주파 1. 신재생에너지 분산 전원의 종류 및 연계계통의 형태 현재 시점에서 실용화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 전력계통에 연계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원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풍력 발전 태양광 발전 소수력 발전 열병합 ..

전력계통는 어떻게 보호되는가?(feat.보호계전 시스템)

전기차의 시대가 도래되고 전기 제품들이 많아지면서 그런 전기기기 및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 계통을 보호하는 보호계전기는 어떠한 성능이 있어야 하는지, 그리고 이런 보호계전 시스템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해 포스팅해보겠다. 목차 1. 전력 계통 보호와 보호계전기 2. 보호계전기가 구비해야 할 성능 3. 보호계전 시스템의 구성 1. 전력 계통 보호와 보호계전기 오랫동안의 꾸준한 전력기술의 발달은 전력 에너지의 막대한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전력 계통을 구성할 수 있는 밑받침이 되어 왔다. 이러한 발달 중에서 보호계전기 및 자동 제어 분야의 기술 발전은 매우 큰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규모가 큰 전력기기가 도입되고 복잡한 구조의 전력 계통이 구성됨에 발맞추어 진보를 거듭하여 오늘날의 전력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