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송전선 2

전력 케이블의 단락 사고 시 케이블 보호에는 어떤 사항을 고려해야 할까?

반도체 및 전기차 등 전력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전기를 송, 배전시키는 전력 케이블의 역할이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에 대해 단락 사고 발생 시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 및 고려 사항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1. 전력 케이블 보호의 목적 2. 단락 사고 시 케이블 보호 관련 고려 사항 2.1 단락전류 2.2 도체온도 및 도체크기 2.3 최대 사고 전류 제거시간 1. 전력 케이블 보호의 목적 최근에는 송전과 배전을 위한 전력 회로에 절연 케이블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전력의 크기와 사용 전압 레벨이 점점 높아지면서 내재된 사고의 위험도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케이블의 온도 상승은 수명을 단축시키며, 가장 큰 사고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케이블 규격 선정 시에는 예상할 수 있는 최대 전류..

국내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국내에는 154kV, 345kV, 그리고 765kV 송전선이 있습니다. 이 송전선들은 모두 디지털 형식의 보호계전기를 사용합니다. 154kV 송전선의 보호 계전방식은 방향비교 트립저지방식 또는 PCM전송 전류차동방식을, 345kV와 765kV 송전선의 제1주 보호는 방향비교 트립저지방식, 제2주 보호는 제어언더리치 전송 차단방식(PUTT) 또는 PCM전송전류차동방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국내 송전선에 대한 보호 계전 방식을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1. 154kV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 1.1 154kV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의 변화 1.2 154kV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의 주요 구성과 특징 2. 345kV 이상 초고압 계통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 2.1 345kV 이상 초고압 계통 송전선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