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S 2

전력계통 보호 계전기의 분류 기준 및 특징

최근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전력계통 보호를 위한 계전기의 종류가 다양해졌으며, 그 분류 방법도 동작 기구, 동작 특성, 용도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됩니다. 이에 대해 보호 계전기의 분류 기준 및 특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1. 동작 기구상의 분류 기준 2. 동작 시간에 의한 분류 기준 3. 용도 별 분류 기준 1. 동작 기구상의 분류 기준 보호 계전기를 동작 기구 형식으로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은 3 종류가 있습니다. 전자기계형(Electro-mechanical Type) 정지형(Solid-Static Type) 기계형(Mechanical Type) 동작 기구의 형식에 따라 분류한 부분에 대해서는 위와 같이 언급하였습니다. 이제, 세부적인 보호 계전기 형태는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전환: 주요 재생에너지 키워드 TOP 5

탄소 중립을 위한 에너지 전환에 대하여 주요 재생에너지 TOP5 키워드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1. 재생에너지룰 향한 각국의 야심찬 목표, RE100 2. 확대되는 ESS 시장(리튬 이온 배터리) 3. 마이크로그리드와 인공지능의 만남 4.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loT) 5. 그리드 패리티 도달로 확인된 경제성 1. 재생에너지를 향한 각국의 야심찬 목표, RE100 전 세계 많은 국가, 도시, 기업에서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고자 노력 중입니다. RE100은 기업들이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기 위한 국제 캠페인입니다. 이 캠페인은 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를 풍력, 태양광 등의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충당하는 것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