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전 2

전압 불안정 시 전력 계통 보호 및 제어 방법

여름철에는 전력 소모가 증가하여 전압 불안정으로 인한 전기 공급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압 불안정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 원인과 대처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목차 1. 전압 불안정 현상과 원인 2. 전압 불안정 시 변압기 OLTC 제어 방법 2.1 변압기 OLTC 제어 2.2 전압붕괴와 OLTC 운전 2.3 계통 안정도 개선 2.4 OLTC 블로킹 방식 적용 3. 전압 불안정 시 저전압계전기를 활용한 부하차단 방법 3.1 부하차단 방법의 설명 3.2 부하차단 효과 1. 전압 불안정 현상과 원인 전압 안정도는 평상시와 계통의 동요가 발생된 후에 계통의 모든 모선에서 전압을 어떤 허용할 만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말합니다. 동요에 의하거나, 부하의 증가 또는 계통 조건의 변..

국내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국내에는 154kV, 345kV, 그리고 765kV 송전선이 있습니다. 이 송전선들은 모두 디지털 형식의 보호계전기를 사용합니다. 154kV 송전선의 보호 계전방식은 방향비교 트립저지방식 또는 PCM전송 전류차동방식을, 345kV와 765kV 송전선의 제1주 보호는 방향비교 트립저지방식, 제2주 보호는 제어언더리치 전송 차단방식(PUTT) 또는 PCM전송전류차동방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국내 송전선에 대한 보호 계전 방식을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1. 154kV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 1.1 154kV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의 변화 1.2 154kV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의 주요 구성과 특징 2. 345kV 이상 초고압 계통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 2.1 345kV 이상 초고압 계통 송전선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