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호계전기 4

유도 전동기 사고의 보호 방법 (feat. 사고 원인, 현상, 보호장치)

전동기는 전력 계통 끝에 위치하여 사고 발생 시 해당 기계나 장치가 멈추는 등 국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사고 처리가 잘못되면 파급 효과로 인해 넓은 범위에서 정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유도 전동기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고의 종류와 발생 가능한 현상 및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해 보호할 수 있는 보호 계전 장치들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전동기 자체 이상에 대한 보호 1) 과부하 보호 2) 회전자 구속 보호 3) 단락 보호 4) 지락 보호 5) 베어링 보호 2. 전원측 이상에 대한 보호 1) 결상 보호 2) 역상 보호 3) 저전압 보호 4) 과전압 보호 전동기의 보호는 원인과 목적에 따라 아래와 같은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동기와 부하 자신의 사고를 검출하여 그 ..

전력계통의 보호계전기 동작원리

전력계통의 보호계전기는 전기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보호계전기는 전기 고장으로부터 전기 장치와 인명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계전기 형태별로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 글에서는 전력계통의 보호계전기 동작 원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보호계전기 대표적인 형식에 대한 원리 2. 보호계전기 형태별 동작원리 1) 가동철심형 계전기 2) 유도형 계전기 3) 전력계전기 및 방향계전기 4) 디지털계전기 1. 보호계전기 대표적인 형식에 대한 원리 보호 계전기는 형태상으로 아날로그(Analog)형과 디지털(Digital)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아날로그형은 다시 전자기계형(Electro-mechanical Type)과 정지형(Static Type)으로 분류됩니다. 전자기계..

전력계통 보호 계전기의 분류 기준 및 특징

최근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전력계통 보호를 위한 계전기의 종류가 다양해졌으며, 그 분류 방법도 동작 기구, 동작 특성, 용도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됩니다. 이에 대해 보호 계전기의 분류 기준 및 특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1. 동작 기구상의 분류 기준 2. 동작 시간에 의한 분류 기준 3. 용도 별 분류 기준 1. 동작 기구상의 분류 기준 보호 계전기를 동작 기구 형식으로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은 3 종류가 있습니다. 전자기계형(Electro-mechanical Type) 정지형(Solid-Static Type) 기계형(Mechanical Type) 동작 기구의 형식에 따라 분류한 부분에 대해서는 위와 같이 언급하였습니다. 이제, 세부적인 보호 계전기 형태는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

전력계통는 어떻게 보호되는가?(feat.보호계전 시스템)

전기차의 시대가 도래되고 전기 제품들이 많아지면서 그런 전기기기 및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 계통을 보호하는 보호계전기는 어떠한 성능이 있어야 하는지, 그리고 이런 보호계전 시스템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해 포스팅해보겠다. 목차 1. 전력 계통 보호와 보호계전기 2. 보호계전기가 구비해야 할 성능 3. 보호계전 시스템의 구성 1. 전력 계통 보호와 보호계전기 오랫동안의 꾸준한 전력기술의 발달은 전력 에너지의 막대한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전력 계통을 구성할 수 있는 밑받침이 되어 왔다. 이러한 발달 중에서 보호계전기 및 자동 제어 분야의 기술 발전은 매우 큰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규모가 큰 전력기기가 도입되고 복잡한 구조의 전력 계통이 구성됨에 발맞추어 진보를 거듭하여 오늘날의 전력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