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폐로 2

송전 전력계통용 차단기의 고속 재폐로 방식과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전력계통에서 송전선로의 사고는 대부분이 순간적인 번개 혹은 수목접촉(새 포함)에 의해서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장 내용을 제거 후 절연 내역을 회복한 다음에 즉시 전력 공급을 할 수 있어야 전력 공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러한 고장 차단 후 자동으로 정의된 시간 내 전력을 재 공급 할 수 있는 재폐로 방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재폐로 방식의 정의 2. 재폐로 방식의 효과 3. 재폐로 방식의 동작 시퀀스(Sequence) 4. 재폐로 방식 적용시 유의사항 5. 재폐로 방식의 종류 5.1 단상 재폐로 방식 5.2 단상/3상 재폐로 방식 5.3 3상 재폐로 방식 5.4 다상 재폐로 방식 6. 재폐로 방식의 성공, 실패, 부동작 상태의 요약 설명 1. 재폐로 ..

국내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국내에는 154kV, 345kV, 그리고 765kV 송전선이 있습니다. 이 송전선들은 모두 디지털 형식의 보호계전기를 사용합니다. 154kV 송전선의 보호 계전방식은 방향비교 트립저지방식 또는 PCM전송 전류차동방식을, 345kV와 765kV 송전선의 제1주 보호는 방향비교 트립저지방식, 제2주 보호는 제어언더리치 전송 차단방식(PUTT) 또는 PCM전송전류차동방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국내 송전선에 대한 보호 계전 방식을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1. 154kV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 1.1 154kV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의 변화 1.2 154kV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의 주요 구성과 특징 2. 345kV 이상 초고압 계통 송전선 보호 계전 방식 2.1 345kV 이상 초고압 계통 송전선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