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VDC 3

전력계동 안정화 대책 5가지 방안(feat. 발송배전기술사 공부)

AI 및 전기차 시대의 도래로 인해 전력 수요가 증가하고, 전력 계통의 안정화가 필수적입니다. 전력 계통의 안정도에는 여러 가지 영향 요소가 있으며, 이를 향상하는 방법도 다양합니다. 전력계동 안정화 대책으로 다음의 5가지 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그리고 발송배전기술사 공부도 함께 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겠습니다. 계통의 직렬리액턴스 감소 전압변동 억제 계통 상 충격 경감 고장 시 전력변동 억제 FACTS 및 HVDC 활용 1. 계통의 직렬리액턴스 감소 상기 공식에서와 같이 동일 출력(P)에서 계통의 리액턴스(X)가 작아지면 sin⁡𝛿가 작아져서 안정도가 향상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합니다. 1) 기기의 리액턴스를 감소시킵니다. 발전기의 리액턴스를 줄이면 짧은 비율로 기기 크기가..

고압직류송전(HVDC) 방식의 장단점 및 구성도, 효과는 어떻게 될까?

산업 전반의 분위기가 로봇 중심의 사회 및 산업으로 점차 발전하고 있어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에 따라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고압 직류 송전(HVDC) 방식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고압 직류 송전 방식의 장단점, 구성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직류송전방식(HVDC) 이란? 직류송전방식(HVDC)의 장점 직류송전방식(HVDC)의 단점 직류송전방식(HVDC)의 구성도 직류송전방식(HVDC)의 적용분야 및 효과 1. 직류송전방식(HVDC) 이란? 직류 송전 방식(HVDC)은, 전력을 효율적으로 송전하기 위해 송전 단측에서 교류 계통의 전력을 변환 장치를 통해 직류로 변환하여 송전하고, 이를 수전 단측에서 역변환 장치를 통해 다시 교류로 변환하여 수전하는 방식입..

전력 케이블의 단락 사고 시 케이블 보호에는 어떤 사항을 고려해야 할까?

반도체 및 전기차 등 전력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전기를 송, 배전시키는 전력 케이블의 역할이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에 대해 단락 사고 발생 시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 및 고려 사항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1. 전력 케이블 보호의 목적 2. 단락 사고 시 케이블 보호 관련 고려 사항 2.1 단락전류 2.2 도체온도 및 도체크기 2.3 최대 사고 전류 제거시간 1. 전력 케이블 보호의 목적 최근에는 송전과 배전을 위한 전력 회로에 절연 케이블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전력의 크기와 사용 전압 레벨이 점점 높아지면서 내재된 사고의 위험도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케이블의 온도 상승은 수명을 단축시키며, 가장 큰 사고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케이블 규격 선정 시에는 예상할 수 있는 최대 전류..

반응형